안녕하세요 이번엔 애플페이 관련 소식을 들고 와봤습니다. 삼성페이가 나오고 나서부터 매년마다 iOS유저분들은 애플페이를 손꼽아 기다렸는데요. 이번에 드디어 한국에도 승인이 났다고 합니다. 언제부터 사용가능한지, 어떤 카드들로 가능한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금융당국은 「여신전문금융업법」,「전자금융거래법」 등 관련 법령과 그간의 법령해석 등을 고려하여, 신용카드사들이 필요한 관련 절차 등을 준수하여 애플페이 서비스 도입을 추진할 수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애플페이의 경우 NFC 결제 방식으로 결제 단말기에서 해당 기능이 있어야 애플페이로 결제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NFC가 뭐길래?
NFC결제 방식이란 특정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해 10cm 안팎의 짧은 거리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기술인데, 이를 위해선 따로 NFC 단말기가 있는 가맹점에서만 애플페이를 쓸 수 있습니다. 해당 단말기는 점점 확대 보급될 예정입니다. 삼성페이는 NFC방식과 MST방식( 마그네틱보안전송 )으로 결제를 진행했지만 NFC결제가 보편화된다면 NFC를 주력으로 전환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미 갤럭시 워치에서도 NFC 결제방식을 사용 중이고, 해외 갤럭시 삼성페이는 MST를 뺀 NFC 결제방식을 진행 중입니다.
애플페이 사용가능매장은?
그렇다면 당장 NFC방식으로 결제할 수 있는 곳은 어디가 있을까요?
□편의점 □이케아 □롯데리아 □신세계백화점 □롯데하이마트
□엔젤리너스 □롯데백화점 □대중교통 □NFC 자판기 □스타벅스
□코스트코 □파리바게트 □맥도날드
알려진 곳은 이렇게 됩니다. 금융위원회에서는 영세, 중소가맹점 ( 연매출 30억 원 이하 )에 대해 신용카드 사회공헌재단과 동반성장위원회가 공동으로 NFC/QR 단말기를 일부 지원한다고 합니다.
현대카드만 사용 가능한지?
애플페이라고 하면 현대카드가 독점계약을 했다고 알고 계시는데요. 기존 현대카드가 애플이 최초 계약진행에 넣은 독점계약 조항을 삭제하기로 하고 우선계약으로 변경했다고 합니다. 이로 인해 다른 카드사들도 애플과의 계약을 통해 국내 애플페이 서비스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이 부분은 금융위원회에서 직접 보도된 자료가 아닌 금융위원회 고위 관계자의 출처임을 알립니다.
하지만 다른 카드사들이 애플페이를 도입하기 위해선 애플이 요구하는 계약 조건을 맞춰줘야 되지만 이 조건이 만만치 않아 쉽지 않다고 하며, 애플페이 도입 후 실제 파급효과, 수수료 비용에 따른 수익성 등을 따져봐야 하기 때문에 당분간 국내에서 애플페이에 등록할 수 있는 카드는 현대카드로 제한될 것 같습니다.
교통카드 ( 티머니, 캐시비 )
그리고 교통카드도 혹시 가능한지 궁금한 분들도 계실 텐데요. 아쉽게도 당장은 쓸 수 없을 것 같습니다. 버스와 지하철에 달린 교통카드 단말기 대부분은 NFC 기능이 있는데도 티머니·캐시비 같은 교통카드 회사가 별도로 애플과 직접 계약을 맺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작년 말 티머니가 애플페이 사용을 위해 필요한 NFC 국제 결제 표준인 EMV 인증을 받으면서 소비자분들의 기대를 달궜지만, 이와 무관하게 애플페이 지원은 아직 안 되는 상태라고 합니다.
정식 서비스 론칭은?
아직 애플이나 현대카드 측의 별도 공지나 오피셜은 발표되지 않았으나, 서비스가 론칭되더라도 현장에서 결제가 잘 이뤄지는지 점검 기간도 필요할 테고, 애플이 국내 발급 카드도 애플페이에 등록하고 결제가 가능하도록 iOS 업데이트도 해야 해서 실제로 애플페이 사용은 최소 3월 중 이후로 론칭한다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현대카드가 우선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단말기 보급도 속도를 높이고, 마케팅부터 론칭까지 애플페이를 실제로 쓸 날이 얼마 남지 않았다고 보입니다.
그렇다면 애플페이를 등록하는 방법은?
아직 현시점에서는 되지 않지만 등록 방식은 동일할 예정인데요.
1. 어플 중 지갑을 열기
2. 카드 추가로 등록
※ 카드사 어플에서 진행해야 하는 경우는 알림 창이 뜨고 '더 알아보기'를 누릅니다.
(현재는 설정 → 일반 → 언어 및 지역 → 캐나다로 설정해야 등록이 가능합니다.)
해외 결제가 가능한 VISA, Mastercard, JCB, Discover, Unionpay 제휴 카드 등을 지원하는 카드만 애플페이를 지원할 예정이기 때문에 이는 확인해주셔야 합니다.
수수료는 소비자 부담?
그리고 나오는 이야기가 소비자 비용에 관한 이야기인데요. 애플페이는 별도 결제 수수료를 받지 않는 삼성페이와 달리 제휴 은행이나 카드사에 애플페이 사용에 따른 수수료를 결제 건당 부과하고 있다고 합니다. 수수료율은 계약에 따라 다르지만 체계가 단순한 미국에선 건당 0.15%로 알려져 있습니다. 현대카드도 비슷한 수준으로 계약을 했다면 카드사 입장에선 적지 않은 부담이 될 것으로 보이며, 이는 기존에 거둬들이던 수수료 수입의 10~30%를 애플에 넘겨줘야 합니다. 처음 출시 되었을 때를 보면 1달러 상품을 구매했는데 1.25달러가 결제되고 어떤 가맹점에선 애플페이로 결제하면 10센트를 추가로 받는 등의 말이 많았습니다. 은행이나 카드사들이 수수료 일부를 가맹점과 소비자에게 전과했기 때문에 수수료가 중요합니다.
이에 금융위원회는 '카드사가 애플페이와 관련된 수수료 등의 비용을 고객( 약관에 반영 ) 또는 가맹점( 기존 법령해석 )에 부담하지 않아야 한다'라고 못을 박았습니다. 최소한 명시적으로 수수료를 전가하는 일은 없을 전망으로 보입니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카드사 입장에서 0.15%의 수수료는 상당한 부담으로, 이는 고객 혜택 축소나 높은 연회비 등의 방식으로 고객에게 전가될 가능성이 있다'라고 했으며 그동안 없던 수수료에 대한 일부 도소매점이나 자영업 및 이용자의 심리적 반감은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
애플페이가 출시되면서 기존 삼성페이는 관련 서비스들이 좀 더 보완되고 다양해질 가능성이 높은데요. 항공권이나 학생증, 탑승권 등을 추가 지원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구글이 구글페이로 진입할 확률도 높습니다.
오늘도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Tip 모음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DB저축은행 연 4.8% 고금리 정기예금 상품 등장 (1) | 2023.02.08 |
---|---|
기준금리 인상은 아직 안끝났는데 은행•저축은행 금리는 떨어지고 있다?? (0) | 2023.02.08 |
갤럭시 S23 2월 7일부터 사전예약 시작! 과연 달라진 점은?? (Feat. 출시일, 가격, 사전예약 혜택) (0) | 2023.02.06 |
이젠 편의점에서도 자동심장충격기 (AED) 사용 가능! (feat.심폐소생술) (0) | 2023.02.05 |
유튜브 광고사기 급증 코인사기에 짝퉁까지..? - 2편 (0) | 2023.02.03 |